Park, Sung Min
Park, Sung Min
‘얼음 꽃’으로 부른 생명의 찬가
Kai Hong, Ph.D.
Painter as an Ontologist:
Ontology is about the philosophical question of “What there is in the world?” There are all sorts of things, with their own thingly qualities. Put in other words, there are all kinds of material bodies, numbering in the zillions, yet each with its own material characteristic. There are animate things like bacteria, humans and plants among other such things; then, there are inanimate things like stones, metallic constructions, stars and rock formations and other minerals. What is so fascinating about the natural world is that no two things, apart from the mechanically produced artifacts, are exactly alike as no twins, even from the single egg, are exactly the same. Even from all those uncountable number of stones from a rocky coastal beach, it is impossible to find two exactly same stones in sizes, in shapes, in grainy textures as well as its internal structures. How could it not have been otherwise? After all, each ordinary stone has a history of its own, sometimes several million years or trillion years of history, possibly coinciding with the history of universe. A grain of dirt comes to rest. Another grain joins it. Many grains follow from a variety of sources, brought to a point of accumulation by accident. The accumulating grains are in the same size and weight range and share certain chemical properties. That’s why they stick together, there being a selection process of some kind. Grains come together, thus, in a layer. A muck deposit envelops a multiplicity of grains composed of a multiplicity of atoms, all of which follow multiple paths to their common agglomeration. Layer accumulates upon layer, stratum upon stratum. Over time, sediment folds and hardens into sedimentary rock, the birth of a stone. In such solidification of the initially fluctuating muck into a stable formation, a unique configurationofpatternsalongitsowngrainytexturehasbeenformed.
How about Water and Ice? When frozen, the entire body of water in a lake is solidly ice; and from the solid mass of the ice, a chunk of it can be cut out, the way a chunk of rock is quarried off a huge rocky deposit from deep inside the surface of the earth. There, then, is a material body of ice, formerly water. How about, then, the cubs of ice? Are they all the same as material bodies, other than their sizes? Ice is the result of a freezing process; it is not a different process from that of solidification, really. All material body came from what was once a watery form of substance, whether it was molten magma, lava of more or less sulfuric content or water. When temperature of the earth changed, to a freezing point, all those things that were previously in liquid form became solid forms, imprisoning whatever was in the liquid water into different layers of metallic or rocky sedimentations. That is how we can discover the fossilized animal and plant forms in the course of geological excavations. What shall we discover in the long process of Arctic Iceberg melting?
From the deep layers of Salt-deposit or some other metal deposits in the mines, we excavate fossilized traces of disappeared animal and plant lives; but, from the depth of the Icebergs of the Arctic Sea, we do not expect fossils of something dead. Instead, from the inside of the Icebergs, if it happens, we will come to discover FROZEN life forms, frozen but perhaps not DEAD. (Here, I’m merely talking about a possibility, a virtual reality possibility, which is not implausible. So long as it is not implausible, it deserves to be thought through, as the Virtual Historians are wont to argue for.) After all, don’t we freeze food stuff when we want to keep it preserved? Isn’t it already happening that some people, when they died, have their body or at least his or her brain, deep-frozen so that they can be resuscitated hundred years later?
박성민 작가는 화가의 위치에서 얼음이 가진 특성에 흥미를 갖고 있다. 조각, 회화, 혹은 사진이 되었든, 어떤 예술 영역을 개척하든 간에 창조 과정에서 조우하게 되는 대상과 진지한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박성민 작가의 작품의 독특하고 창조적인 면은 바로 물질적인 대상으로써 얼음과 독특한 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논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다른 분야에서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예를 들어보도록 하겠다. 가령 조각가가 원재료인 돌로 조각을 하려고 할 때 무엇을 하는 지 말이다. 이 조각가는 자신이 원하는 작품을 만들어내기 위해 전기 톱을 사용해 왔다. 자신의 작품을 구상하고 난 뒤 ‘의도한 대로’ 모양을 가다듬었을 것이다. 작가는 조각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평범한 소재에서도 내재되어있는 어마어마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확신에 흔들림이 없다. 그러나 작업 과정에서 다루던 소재가 생각보다 더 부스러지기 쉽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래서 차선책으로 수작업을 선택하게 되는 데 그 과정에서 다루던 소재가 머리 속에서 구상하던 대로 쉽게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고 마치 옹골찬 고집이 있는 양 그 견고함을 자랑한다. 왜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시킬 수 없는 지 소재 면면을 살피던 과정에서 평범한 돌 조차도 각각 독특한 물질 구성 패턴을 이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달리 무엇으로 설명이 가능하겠는가? 돌 하나 하나에도 나름대로 겪어온 세월이 있을 터인데 그것은 수 백 만년 이었을 수도, 혹은 그 보다 더 기나긴 세월을 겪어오며 이 우주가 형성 되어온 과정을 목도 했을 수 있다.
I believe Park Sungmin does something similar, except in a reverse way. For the sculptor, she had to respect the unique individuality of each material body of a stone to discover the latent potentiality hidden therein. Park Sungmin, on the other hand, dramatizes a unique event or composes a unique tableau involving an ice cube and some other objects of his choice. These objects are sometimes herbs, green leaves or his favorite flowers or fruits. Sometimes, the artist puts a green stem and leaves inside a glass of water and then freeze the whole thing before paints frozen glass inside a block of ice, the color ‘green’ of the greens vividly preserved as life-like as ever. This particular ice cub as a material body is unique in that it has green leaves in the middle of it. Because of that particular green vegetable, it has a name and individuality, not like any other ice cubes. In painting this particular ice cub, co-frozen greens in the middle of it, changing the light-reflexivity and everything else, the painter pays attention to all that minute differences. Indeed, it is an all together different matter, different object, this ice cube, when it was without and with this particular green leaves inside it interior. An entirely new object has been brought into the world, however briefly, and then it became the Still-Life motif for this artist’s painting.
In portrait photography, it all matters what hat the madam wears and how in the way the subject shows up in the photography. It is not from the sheer mechanical felicity of the photographic medium that the expressive quality of a photographic shot comes out. Instead, it is all how you present the photographic subject before the very act of PHOTOGRAPHING itself. As if you’re a stage director, you have to direct the subject how to stand and toward what light, and so on. In other words, you compose the shot before the actual photographing.
최근 작품에서 도자기라는 새로운 요소가 추가 되었다. 작가의 얼음 조각은 전통 문양을 섬세하게 새긴 도자기 그릇에 담겨있는 것이다. 이번 새로운 시도를 통해 박성민 작가는 섬세하고 역량이 뛰어난 설치 디자이너로서의 자질을 보여준다. 아이스 캡슐 97에서 백자 그릇에 담긴 얼음 조각 속에 있는 나뭇잎 줄기의 초록색을 강조한다. 그 섬세함은 또한 초록색 잎줄기가 가로로 배치되어 극적인 효과를 배가 시킨 상태에서 잎사귀의 일부는 얼음 조각 속에, 또 다른 일부는 밖에 나와 극적인 이미지를 강조함으로써 드러난다.
In more recent paintings, there’s even newer element, making its first appearance. I mean potteries and ceramic wares. His ice-cubes are now contained inside a ceramic bowl on the surface of which are delicately drawn patterns of traditional Korean origin. This time, Park proves to be a brilliant display designer in the delicate way he highlight the very ‘green-ness’ the green leaves with the ice cubes on white ceramic bowl as in Ice Capsule 97 or the very dramatic image of the green leaves partly submerged and partly on top of the ice capsules, horizontally displayed to highlight the dynamic force of is elongated spread.
기술 발달의 절정을 이룬 우리 시대, 즉 재미슨의 말을 인용하자면 탈자본주의 시대에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 및 사회 활동은 산업 활동과 맥을 같이 한다. 그래서 우리는 금융, 문화, 농경 그리고 심지어 교육분야에도 산업이라는 어미를 붙이는 것일까? 우리는 산업 이라는 어미를 갖다 붙임으로써 어떤 무시무시한 결과가 나타날까에 대한 별다른 생각 없이 사용을 한다. 이와 같은 언어 사용이 혹자는 시대의 발전을 나타내기 때문에 더 세련된 표현이라고 말을 할 지 모른다. 그것이 과연 타당한 것일까? 농경산업을 예로 들어보자.
미국 몬산토 사와 같은 대기업이 농경지를 구입했다고 치자, 이러한 대기업은 농축산업 전체에 산업화 과정을 적용 시킨다. 즉 농경지를 공장으로 변모시키는 것이다. 해충 및 박테리아를 막아내도록 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한다. 과연 좋은 것일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만약 곤충이나 박테리아를 끌어들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걸 섭취할 사람에게 결코 좋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동식물이건 곤충이건 상관없이 자연의 생명체와 인간은 결국 함께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거대한 공장화가 된 농경지에서 재배되는 과정에서 농작물이 상하는 일이 없다면, 사람의 몸 속에 들어 갔을 때 어떻게 될까? 우리가 섭취하는 음식이 제대로 소화 흡수가 되지 않는 다면, 그것은 식용으로 활용이 불가능 한 것이다. 비슷한 맥락에서 육류의 경우에도 축산 농가에서 가축동물들이 사료 외 여타 호르몬 제를 투여하는 데 무엇이 어떻게 들어가는 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섭취를 하게 된다. 역설적으로 최고급 레스토랑에서 ‘우리는 출처가 분명한 식자재 만을 사용해 음식을 만듭니다’와 같은 슬로건을 내세우는 것은 새삼스러울 것이 아니게 되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경이로움을 경험하게 되는 데 지각변동을 일으키기 때문이 아니다. 사실 매우 단순하고 평범한 것이 새로운 각도의 조명을 받은 것일 수 있다. 그러면 스스로 보고 깨닫는 것을 타인도 같이 하고 있는 지에 대한 의문을 시작으로 타인과 그 과정을 공유하려 할 것이다. 그것이 자신이 지각한 대상에 대해 주의를 환기 시키는 가장 겸허하고도 진지한 제스쳐를 취하는 것이 된다. 평범한 사물에 대해 경이로워하는 것이 경이로움과 즐거움의 원천이 되는 것이다. 이 것은 찰나의 순간에 얻는 깨달음이다. 평범할 수 있는 경이로운 경험이 쌓여 우리는 이해관계에서 벗어나 서로 예민한 감수성을 나눌 수 있는 온전한 공동체를 형성하게 된다. 두 사람 혹은 그 이상이 모여 각자의 인식 및 생각을 나눔으로써 이해관계를 벗어난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아무런 예고 없이 ‘눈길을 주는’ 과정을 거쳤고, 순전히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기 위해, 그리고 이 우주의 아주 미미한 일 부분을 차지하는 존재로써 가진 연결고리를 확인 하기 위해 그 순간 가까이 있었을 타인에게 자신이 본 것을 보고, 느낀 것을 느끼는 지에 대해 물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평범한 사물을 매개로 우주와 상호 연관성을 찾아낸다는 것은 즐겁다 못해 경이로운 것으로, 이해 관계 및 권력과 같은 세속적인 관심사와 관련이 되어 있지 않다. 미처 알지 못한 ‘연결고리’를 발견하는 것이 순전히 예술활동을 함으로써 누릴 수 있는 즐거움이다. 예를 들어 학기가 시작한 이후 3개월 동안 수업을 맡아 왔다고 하면, 매일 같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이 얼굴을 보았을 것이다. 그러나 석 달이 지난 지금에서야 지연이라는 한 학생에 존재에 대해 ‘주목’을 하게된다. 그 동안 이 학생이 전혀 눈에 띄지 않았던 건 분명 아니다. 무슨 의미일까? 그 학생의 가진 무언가가 눈길을 끈 것이다. 그 과정에서 놀라움과 경이로움이 뒤따른다. 우선 그 동안 내 강의를 꾸준히 들어왔음에도 지금에서야 눈에 띄었다는 점 때문이다. 무엇인가를 본다는 것은 상당히 복잡한 과정으로, 궁극적으로 복잡한 지식 체계로까지 그 과정이 이어진다. 곰브리치를 잠시 인용하자면 우리는 아는 만큼 보인다. 즉, 우리는 기존에 형성된 인식의 틀을 사물을 보는 렌즈 및 필터로 삼아 본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식의 틀과 사물간에 간극이 벌어져 있을 때 우리는 그 간극에 ‘주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 기계적으로 사물을 보는 것은 잠시 멈추고 앞서 발생한 간극에 원인에 대해 파악을 하기 위해 인식의 틀을 재구성하게 된다. 기존의 인식의 틀은 활용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고 종전과 다른 인지 활동을 하는 과정을 거쳐 객관성을 가지게 된다. 그렇다, 임마누엘 칸트가 주창한, 미적 관점의 가장 기본을 형성하는 그 관점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객관성은 ‘모든 규약 및 이해타산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
문화나 교육 산업도 마찬가지이다. 산업화 그 다음 단계로서 문화 및 교육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정부의 정책 기조와 달리 노암 촘스키 MIT대 교수는 미디어 산업이 금융업과 농경산업계와 손잡고 우리 사회를 끊임없이 속이고 있는 것에 대해 경고를 해왔다. 기업들은 일반 대중들이 무엇을 섭취하는 지에 큰 관심이 없다. 오로지 주주를 비롯한 이해 관계자들의 이익의 극대화에 관심이 쏟는 것이다. 여기에 신자유주의적인 가치관이 도래되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산업계의 탐욕은 문화예술계에서도 이미 오래 전부터 파고들고 있었다. 촘스키가 지적한 바 대로 미디어 조작이나 조지 오웰의 신조어 더블 토크는 미술계에도 침투한 서구 자본주의 체제하의 문화 산업에서도 팽배해 있는 현상이다. 따라서 박성민 작가의 작품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환경을 파괴하고 그 과정에서 인간이 육체 및 정신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가능성까지 파괴하는 것에 대한 저항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서 여러 차례 언급한대로 얼음 조각과 함께 사물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과정에서 작가는 상호 연결성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장자의 제물론 및 화엄경에서도 강조되다시피 우리는 이 넓은 우주 속의 존재로써 서로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도입한 서구 자본주의의 문제점은 각 개인이 세상으로부터 점점 더 단절되어 간다는 것인데, 이는 특히 디지털 기술의 꽃피우는 요즘 그 문제의 심각성이 더욱 두드러진다. 가상현실이 우리 일상 생활을 파고들기 시작해 급기야 현실감각을 잃게 만든다. 그렇지 않고서 1999년 미국 콜롬바인 고교에서 일어난 참극에 대해 달리 어떻게 설명을 하겠는가? 박성민 작가의 작품은, 적어도 필자에게만큼은, 얼음 조각 및 간결한 선을 가진 도자기에 담긴 평범한 잎줄기를 매개로 인간과 자연의 상호 연결성을 새삼스레 생각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