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m, Tae Ho
Kim, Tae Ho
생성의 고동 – 김태호의 근작
오광수
전체를 향한 강한 의지와 섬세한 숨결의 내밀한 정서로 뒤덮힌 김태호의 작품앞에서면 단순한 회화작품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생명체를 대하는 느낌이 일어난다. 안료로 뒤덮힌 무기물이면서 화면에서 일어나는 질서는 생성의 고동으로 부단히 어떤 실존의 장을 열어나간다. 그의 작화의 태도는 하나의 방법의 제시로부터 자신의 정체성을 찾는다. 예술은 하나의 방법이다란 명제가 한동안 회자되었지만 김태호의 작화야말로 분명한 방법의 구현으로 시작되고 완성된다. 격자의 선을 긋고 이에따라 겹겹히 색층을 쌓아올리면서 전면화 시켜가는 과정은 충실한 방법의 자기완성이라 할만하다. 단순히 색층을 만들어 갈 뿐 아니라 발라올려진 색의 응어리들을 나이프로 긁어내면서 작은 사각의 무수한 방들이 전체를 향한 단위들로 그 모습을 들어낸다. 마치 벌집처럼 조밀한 단위의 연속이 전면화를 향해 아우성치듯 화면을 누벼나간다.
김태호는 현대미술의 가장 중심에서 활동해온 내역에도 불구하고 집단적의식속에 쉽게 함몰되지 않고 자신의 방법을 집요하게 밀고나온 보기 드문 작가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일견해서 그의 작품은 모노크롬으로 단정하지만 자세히 보면 결코 모노크롬으로 분류하기엔 무리가 있다. 그의 화면은 무수한 색층으로 형성된다. 동시에 이 색들의 층위로 인해 강한 물질성으로서의 마티엘의 현현에 맞닥드리게 된다. 1센티에 가까운 색층의 두께는 단일한 색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색들의 응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켜켜히 쌓인 색층은 무수한 다색의 겹침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만큼 화면은 평면으로서의 그것보다 입체로서의 깊이를 동시에 내장한다. 화면에서 생기는 풍부한 뉘앙스는 다름아닌 이 깊이에서 연유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화면은 평면이면서 동시에 입체성을 풍부히 내장한 것이 된다. 이 점이야말로 다른 모노크롬의 작가들과 비교되는 단면이라 하겠다.
김태호의 작가로서의 내역을 보아도 꾸준함의 미덕이 두드러진다. 시대적인 미의식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든지 쉽사리 자기양식을 바꾼다던지 하는 일은 찾을 수 없다. 다른 이들이 한결같이 추상일번도로 함몰되고 있을 때에도 그는 독특한 형상의 일류전을 추상적 질서 속에로 융화시키는 작업을 묵묵히 시도해왔다. 모노크롬의 집단의식에 모두가 빠져들때도 자신만의 방법을 통한 모노크롬의 추구에 일관해왔다. 그의 근작은 바로 이 같은 자기방법의 충실한 도정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현대미술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성가운데 모노크롬과 전면화 구조를 꼽을 수 있다. 단색과 이 단색의 연장으로서의 전면화는 구조적인 측면에선 일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모노크롬과 전면화구조를 김태호처럼 완벽하게 추구해나가는 작가는 많지않다. 모노크롬을 추구하는 작가들이 전면화의 구조는 빈약하다던지 전면화의 구조가 강한 반면 모노크롬으로는 보기 어려운 작품들을 흔히 대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그것은 형식으로서의 외면에 충실한 결과로 밖에 볼 수 없다. 이 양면을 아우러는 점에서도 그의 방법이 갖는 주도성에 주목하지 않으면 안 될 것 같다.